컨베어 88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컨베어 880은 보잉과 더글러스의 제트 여객기 개발에 대응하여 컨베어가 개발한 중거리 상업용 제트기이다. 1956년 개발이 시작되어 1959년 첫 비행을 했으며, 제너럴 일렉트릭 CJ-805 터보제트 엔진을 사용했다. 1940년대 이후 민간 항공기 부문에서 성공을 거둔 컨베어의 첫 제트 여객기로, 트랜스 월드 항공의 하워드 휴즈의 강력한 의향에 따라 개발되었다. 델타 항공에서 최초로 상업 운항을 시작했으며, 캐세이퍼시픽 항공, 일본항공 등에서 운용되었다. 1980년대 중반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퇴역했으며, 엘비스 프레슬리의 자가용 비행기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컨베어 항공기 - 컨베어 B-36 피스메이커
컨베어 B-36 피스메이커는 6개의 레디얼 엔진과 4개의 터보제트 엔진을 장착하고 최대 39,000kg의 폭탄을 탑재할 수 있는 미국의 전략 폭격기이다. - 컨베어 항공기 - 컨베어 990
컨베어 990은 컨베어 880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제트 여객기로, 동체 연장, 엔진 개량, 앤티 쇼크 바디 장착 등을 통해 성능 향상을 꾀했으나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NASA에서 고속 실험기로 활용되었다. - 1959년 첫 비행한 항공기 - P-3 오라이온
P-3 오라이온은 록히드사가 L-188 일렉트라 여객기를 기반으로 개발한 대잠초계기로, 다양한 개량형을 거쳐 전 세계에서 50년 이상 운용되었으며 현재는 P-8 포세이돈으로 대체되고 있지만 성능 개선을 통해 여전히 활약하고 있다. - 1959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보잉 720
보잉 720은 보잉 707을 기반으로 개발된 중거리 여객기로, 짧은 활주로 운용을 위해 동체 길이를 줄이고 날개를 수정했으며, 1959년 첫 비행 후 1960년 유나이티드 항공에서 처음 운항을 시작했다. - 사발 제트기 -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 146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 146은 1980년대 영국에서 개발된 4개의 터보팬 엔진을 장착한 고익 배치 지역 여객기로, 짧은 활주로에서도 운용 가능하며, 여러 파생형과 Avro RJ 시리즈로 업그레이드되었으나 2003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 사발 제트기 - 보잉 707
보잉 707은 보잉이 제작한 4발 제트 여객기로, 장거리 항공 여행 시대를 열며 민간 항공의 주력 기종으로 활약했으나, 후속 기종과 규제로 민간 생산은 종료되고 현재는 일부 군용기로만 운용된다.
컨베어 880 | |
---|---|
개요 | |
![]() | |
기종 | 협폭동체 제트 여객기 |
제작 국가 | 미국 |
제작사 | 컨베어 |
최초 비행 | 1959년 1월 27일 |
첫 도입 | 1960년 5월, 델타 항공 |
퇴역 | 1998년 |
현황 | 퇴역 |
주요 운용사 | 트랜스 월드 항공 |
기타 운용사 | 델타 항공 일본항공 스위스 항공 민항공운공사 엘비스 프레슬리 |
생산 기간 | 1959년–1962년 |
생산 대수 | 65대 |
파생형 | 컨베어 990 코로나도 |
성능 | |
최대 속도 | 990 km/h |
2. 개발
컨베어는 보잉과 더글러스의 제트 여객기 발표에 대응하여 1956년 4월부터 중거리 제트 여객기 개발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스카이락, 골든 애로우 등으로 불렸으나, 최종적으로 최고 속도를 의미하는 880으로 명명되었다.[2]
1940년대 이후 CV240, CV440 등의 소형, 중형 왕복 엔진기를 베스트셀러로 내놓았던 컨베어가 트랜스 월드 항공(TWA)의 실질적인 오너 하워드 휴즈의 강력한 의향에 따라 개발한 최초의 제트 여객기였다. 1952년에 계획이 발표되었고, 거듭된 사양 변경을 거쳐 1959년 1월 27일에 초도 비행했다. 휴즈는 당초 록히드에 고속 제트 여객기 개발을 요청했지만, 군용기 개발 생산과 터보프롭기인 L-188 일렉트라에 주력했기 때문에 컨베어에게 기회가 돌아갔다.
2. 1. 개발 과정
컨베어는 보잉과 더글러스에서 발표한 제품들과 경쟁하기 위해 1956년 4월에 중거리 상업용 제트기 개발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이 디자인을 '''스카이락'''이라고 불렀지만, 이후 '''골든 애로우'''로, 그 다음에는 컨베어 600, 마지막으로 880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는데, 두 숫자 모두 최고 속도인 600mph(970km/h) 또는 880ft/s(268m/s)를 나타낸다. 이 기체는 제너럴 일렉트릭 CJ-805-3 터보제트 엔진을 사용했는데, 이는 록히드 F-104 스타파이터,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2] 및 컨베어 B-58 허슬러에 동력을 제공하는 J79의 민간용 버전이었다.1940년대 이후, 민생기 부문에서 '''CV240'''이나 '''CV440''' 등의 소형, 중형 왕복 엔진기를 베스트셀러로 내놓았던 컨베어가, 트랜스 월드 항공(TWA)의 실질적인 오너이자, 전설적인 거부 하워드 휴즈의 강력한 의향에 따라 개발한 것으로, 동사 최초의 제트 여객기로 1952년에 계획이 발표되었고, 거듭된 사양 변경을 거쳐 1959년 1월 27일에 초도 비행했다.
휴즈는 당초 록히드에 고속 제트 여객기 개발을 요청했지만, 록히드는 군용기 개발 생산으로 바빴던 데다가, 터보프롭기인 L-188 일렉트라에 주력했기 때문에, 컨베어에게 기회가 돌아갔다.
선행하는 경쟁 기종인 보잉 707, 더글러스 DC-8과의 개발 격차를 메우기 위해, 쿡-크레이기 플랜 방식으로 1959년에 -22형의 생산이 바로 시작되었으며, 당시 제트 여객기 중 최고 속도인 최대 운용 한계 마하 0.89를 표방하는 "세계 최고 속도"를 내세워 개발이 진행되었다.
모델 22 미국 연방 항공국 형식 증명서[3]의 첫 번째 예시인 초기 생산 버전(프로토타입은 제작되지 않음)은 1959년 1월 27일에 첫 비행을 했다.[2] 생산이 시작된 후, 미국 연방 항공국은 추가 계측 장비를 요구했고, 컨베어는 날개 부분의 내부를 뜯어내는 대신 동체 상단에 "레이스웨이" 험프를 설치하여 이를 추가했다. 880과 990의 최종 조립은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 있는 컨베어 시설에서 이루어졌다.[4]



DC-8에도 채용된 역 캠버 익형, 초음속 군용기용 엔진과, 기체 표면을 평활화하는 접착 공법을 전용하여, 경제성이 우선시되는 여객기로서는 이례적인 고속성을 추구했지만, 실제로는 공기 저항 과다로 계획치를 달성하지 못했고, 경쟁에서 우위에 설 만한 속도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또한 사전에 트랜스 월드 항공에서 공개된 홍보 사진에서는, 기내에 보잉 377과 같은 승객용 라운지가 설치될 것이라고 발표되었지만, 이는 채용되지 않았다.
2. 2. 디자인 특징
컨베어 880은 보잉 720 등 경쟁 기종에 비해 좌석 수가 적은 5열 좌석 배열을 채택했다. 제너럴 일렉트릭 CJ-805-3 엔진은 보잉의 프랫 & 휘트니 JT3C 엔진보다 추력 비연비가 높았다.[2] 날개에는 4개의 전방 가장자리 슬랫과 동체와 내측 엔진 사이에 크루거 플랩이 설치되었다.[5]1940년대 이후, CV240, CV440 등의 소형, 중형 왕복 엔진기를 베스트셀러로 내놓았던 컨베어가, 항공사인 트랜스 월드 항공(TWA)의 실질적인 오너이자, 여러 기행으로도 알려진 전설적인 거부 하워드 휴즈의 강력한 의향에 따라 개발한 동사 최초의 제트 여객기였다. 1952년에 계획이 발표되었고, 거듭된 사양 변경을 거쳐, 1959년 1월 27일에 초도 비행했다.
휴즈는 당초 오랫동안 관계를 맺어 왔으며, 컨스텔레이션 등으로 실적이 있는 록히드에 고속 제트 여객기 개발을 요청했지만, 록히드는 군용기 개발 생산으로 바빴던 데다가, 과도기적인 터보프롭기인 L-188 일렉트라에 주력했기 때문에, 컨베어에게 기회가 돌아갔다.
선행하는 경쟁 기종인 보잉 707, 더글러스 DC-8과의 개발 격차를 메우기 위해, 컨베어는 F-102, F-106과 마찬가지로 시제기 제작을 생략한 "쿡-크레이기 플랜" 방식으로 1959년에 -22형의 생산을 바로 시작했으며, 당시 제트 여객기 중 최고 속도인 최대 운용 한계 마하 0.89를 표방하는 "세계 최고 속도"를 내세워 개발이 진행되었다.
DC-8에도 채용된 역 캠버 익형, 초음속 군용기용 엔진과, 기체 표면을 평활화하는 접착 공법을 전용하여, 경제성이 우선시되는 여객기로서는 이례적인 고속성을 추구했지만, 실제로는 공기 저항 과다로 계획치를 달성하지 못했고, 경쟁에서 우위에 설 만한 속도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1960년에 첫 번째 기체가 완성되었지만, 최초로 노선에 취항한 것은, 런칭 커스터머인 트랜스 월드 항공이 아닌 델타 항공이었다. 초기 -22형은 저항 감소를 위해 후퇴익에 필수적인 전연 슬랫조차 과감히 배제했지만, 시위 35°의 날카로운 후퇴각에서는 이착륙 시 위험했기 때문에, 곧 전연 슬랫을 추가하고 방향타를 전 유압 작동으로 변경했으며, 파워 업된 엔진으로 탑재량과 항속거리를 증강한 -22M(M은 Modified = 개량형의 의미)으로 대체되었다. 운항 중인 -22도 전 기체가 -22M 사양으로 개조되었다.
고속화를 위해 채용한 제너럴 일렉트릭 CJ-805-3 엔진(동사의 초음속 전술 폭격기B-58에도 사용된 J79의 간략 버전)은 소형 경량이었지만 군사 기밀 지정 해제가 늦어져 계획 지연의 원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비가 번거롭고 제조 원가 절감 목적으로 고가의 내열 금속 사용량을 줄인 것이 문제가 되어 핫 섹션이 용해되는 트러블이 자주 발생했다. 또한 경보 시스템의 오작동에 의한 긴급 착륙도 빈발하는 등 신뢰성이 부족했다. 게다가, 큰 소음과 검은 연기를 뿜어낸 것도, 제트기의 대량 취항으로 공항 주변의 소음 문제가 각국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시점이었기에 수주에 발목을 잡았다.
컨베어 880은 경쟁 기종보다 한 사이즈 작고 적재 능력이 작았으며(객석은 3-2 배치), 높은 연비, 전장 계통과 엔진을 중심으로 잦은 고장, 실속 특성 문제, 저속 시 조종성 문제 등으로 인해 항공사들 사이에서 불만이 많았다.
3. 운용 역사
컨베어 880은 1959년 1월 27일에 초도 비행을 하였고, 1960년 5월 델타 항공에서 최초로 상업 운항을 시작했다.[5] 880-22M으로 약간 수정되어 최신 버전의 805-3B 엔진을 장착했다. 캐세이퍼시픽 항공, 델타 항공, 일본항공, 노스이스트 항공, 스위스 항공, TWA, VIASA 등에서 운행되었다.
상업 운항에서 퇴역하면서, 많은 880 기체들이 아메리칸 제트 산업에 의해 다양한 용도로 구매되었다. 일부는 1974년에 화물기로 개조되어 1982년까지 여러 회사에서 운항했고, 다른 기체는 1995년 화물칸 폭발로 파괴될 때까지 FAA 비행 시험관 훈련에 사용되었다. 나머지 기체는 대부분 2000년까지 폐기되었다.
미국 해군은 1980년에 880-M 한 대를 획득하여 공중 급유기로 개조, UC-880(비공식 명칭)으로 지정하여 메릴랜드주 NAS 팻억센트 리버에 있는 해군 항공 테스트 센터에 배치했다. 이곳에서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 시험 및 항공기 급유 절차에 사용되었으며, 1995년 화물칸 폭발 감압 테스트에서 손상되었다.[5]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중화민국의 민항공운공사(CAT), 홍콩의 캐세이퍼시픽 항공, 스위스 항공 등이 일본 취항 기재로 사용했다.
3. 1. 주요 운용 항공사
- 스위스 항공
- 델타 항공 ♠[5]
- 캐세이퍼시픽 항공 ♠
- 일본항공 ♠
- 민항공운공사
- 트랜스 월드 항공 ♠
- 아메리칸 항공
- 알래스카 항공
- 바리그 브라질 항공
- VIASA 베네수엘라 항공 ♠
- KLM
- 엘비스 프레슬리
- 미국 해군 ('''UC-880'''이라는 비공식 명칭으로 알려짐)
(♠ ''= 최초 운용사'')
일본에서는 일본항공(JAL)이 8대, 일본 국내 항공(JDA: 이후 일본 에어 시스템으로 명칭 변경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일본항공에 흡수 합병)이 1대의 CV880-22M을 구매했다.[50] 일본항공은 1961년 9월에 3대를 도쿄-삿포로 노선에 국내선 최초의 제트기(애칭 "제트 애로우")로 도입했다.[51]
운항 기종 | 기체 기호 | 형식 | 제조 번호 | 애칭 | 수령 년월일 | 비고 |
---|---|---|---|---|---|---|
1호기 | JA8021 | CV-880-22M | 22-7-5-57 | SAKURA | 1961년 1월 21일 | JAL 마지막 비행기. 1971년 4월 28일 매각 말소 →N5865→N1RN→N5865 1976년 12월 16일 마이애미에서 대파 후, 1981년까지 소방 훈련 교재 |
2호기 | JA8022 | CV-880-22M | 22-7-6-58 | MATSU | 1961년 9월 1일 | 1970년 1월 7일 매각 말소→VR-HGF(CX) |
3호기 | JA8023 | CV-880-22M | 22-7-7-59 | KAEDE | 1961년 9월 8일 | 1965년 2월 27일 이키 공항에서 훈련 중 추락, 말소 |
4호기 | JA8024 | CV-880-22M | 22-7-8-60 | KIKU | 1962년 6월 7일 | 1970년 6월 26일 매각 말소→VR-HGG(CX) |
5호기 | JA8025 | CV-880-22M | 22-7-9-61 | AYAME | 1962년 6월 7일 | 1971년 4월 7일 매각 말소→N5866→N4339D |
6호기 | JA8026 | CV-880-22M | 22-00-46M | YANAGI | 1963년 7월 3일 | 1971년 3월 29일 매각 말소→N5858→N54CP |
7호기 | JA8027 | CV-880-22M | 22-00-48M | SUMIRE | 1963년 3월 1일 | 1969년 4월 4일 오사카 공항에서 오버런 사고를 일으켜 파손 1971년 4월 12일 매각 말소→N5863→FAA에서 화재 실험에 사용 |
8호기 | JA8028 | CV-880-22M | 22-00-49M | KIKYO | 1963년 3월 22일 | 1969년 6월 28일 미국 워싱턴주모제스 레이크에서 훈련 중 추락 전손 |
임대 기종 | JA8030 | CV-880-22M | 22-00-45M | 긴자 | 1966년 7월 1일 일본 국내 항공에서 임대 | 구 스위스 항공 HB-ICM(1961년 제작) 1966년(쇼와 41년) 8월 26일, 하네다 공항에서 훈련 중 추락 전손 |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중화민국의 민항공운공사(CAT), 홍콩의 캐세이퍼시픽 항공이나 스위스 항공(현 스위스 국제항공) 등이 일본 취항 기재로 사용했다. 캐세이퍼시픽은 1970년대 초반에 총 9대의 중고 CV880형을 운용했다. 1972년 후속 기종으로 보잉 707-320계 중고 기종을 도입함에 따라 [53]1974년에 정기편에서 퇴역하고, 1975년 중에 전 기체가 보잉 707형의 매입 조건으로 매각되었다.
3. 2. 퇴역

컨베어 880은 1980년대 중반에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퇴역했다. 더글러스 DC-8 등으로 기종을 교체하면서, 남은 기체들은 저렴한 중고 기체로 캐세이퍼시픽 항공 등에 인수되었다. 이후 보잉 707이나 더글러스 DC-8처럼 화물기로 개조되는 일도 거의 없이, 1980년대 중반에는 모든 항공사에서 퇴역했으며, 1995년을 마지막으로 현재 운용되는 기체는 없다.
미국 해군은 1980년에 880-M 1대를 획득하여 공중 급유기로 개조했다. 비공식적으로 UC-880으로 지정된 이 기체는 메릴랜드주 NAS 팻억센트 리버에 있는 해군 항공 테스트 센터에 배치되어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 시험 및 항공기 급유 절차에 사용되었다. UC-880은 1995년 메릴랜드주 NAS 팻억센트 리버에서 화물칸 폭발 감압 테스트 도중 손상되었다. 이 항공기는 비행 중 감압이 발생했더라도 백업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5]
3. 3. 대한민국 관련
일본항공(JAL)은 CV880-22M 8대를, 일본 국내 항공(JDA: 이후 일본 에어 시스템으로 명칭 변경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일본항공에 흡수 합병)은 1대를 구매했다. 일본항공은 더글러스 DC-8을 투입할 정도의 수요는 없다고 판단했던 동남아시아 노선을 위해 DC-8-30형기보다 작은 기재 도입을 검토한 결과, CV880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1960년 4월에 발주했다.[50]당시 일본항공은 국내 간선에서는 4발 왕복 엔진기 DC-4 계열을, 동남아시아 노선 등 단거리 국제선에서는 DC-4의 후계기인 DC-6을 주력으로 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내 간선에서는 비커스 바이카운트를 투입한 전일본공수에, 단거리 국제선에서는 1959년 5월에 터보프롭기 록히드 L-188을 도입한 캐세이퍼시픽 항공에 대해 일시적으로 열세를 보였다.[51] 이러한 상황에서 1961년 9월, 일본항공은 3대의 CV880을 도쿄-삿포로 노선에 국내선 최초의 제트기(애칭 "제트 애로우")로 도입했다. 이후 다른 동남아시아 노선과 국내 간선, 더 나아가 남회 유럽 노선으로 순차적으로 항로를 확대했다.
이로써 컨베어 880은 1960년대 당시 한국의 주요 국제선 노선이었던 일본 노선을 통해 한국인들에게도 친숙한 기종이 되었다. 특히,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일본항공이 컨베어 880을 도입하면서, 당시 한국 사회에 일본의 발전상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존재로 인식되기도 했다.
4. 파생형
컨베어 880-M은 기본형 880의 개량형으로, 날개에 4개의 전방 가장자리 슬랫이 추가되었고, 동체와 엔진 사이에 크루거 플랩이 설치되었다.[5] 이 외에도 파워 부스터가 장착된 방향타, 엔진 추력 증가, 연료 용량 증가, 더 강력한 착륙 장치, 좌석 간격 조절 기능 향상, 더 간단한 오버헤드 수납 공간 배열 등 다양한 개선이 이루어졌다.[5]
컨베어 990은 880의 또 다른 주요 개량형으로, 1961년부터 1963년까지 880-M과 함께 생산되었다.[5] 스위스 항공은 990의 첫 착륙지인 샌디에이고 해안의 섬 이름을 따서 이 항공기를 코로나도라고 명명했다.[5] 990은 엔진을 간이 터보팬 방식의 CJ-805-23B로 교체하고, 공기역학적 성능을 개선했다.
5. 사건 및 사고
컨베어 880은 여러 건의 사고와 하이재킹에 연루되었다.[5]
1967년 11월 20일, TWA 128편이 신시내티/노던켄터키 국제공항 접근 중 추락하여 70명이 사망하고 12명이 생존했다.[26] 1972년 12월 20일에는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에서 활주로를 가로지르던 델타 항공 954편(콘베어 880, N8807E)과 노스 센트럴 항공 575편(맥도넬 더글러스 DC-9-31)이 이륙 중 충돌했다. 콘베어 880에서는 2명이 부상했지만, DC-9에서는 10명이 사망하고 15명이 부상했다.[29]
1983년 5월 11일, 그로스 항공 CV-880-22-2 (N880SR)가 멕시코시티 후아레스 국제공항에서 전소되었다.[32] 1986년 10월에는 FAA CV-880-22M-3 (N5863)이 캘리포니아주 모하비에서 안티-미스팅 케로신 연료 첨가제를 사용한 실험에서 고의로 파괴되었다.[33]
일본항공은 1960년대에 CV880을 운용하면서 훈련 중 여러 차례 사고를 겪었다. 1965년 이키 공항, 1966년 하네다 공항, 1969년 미국 모제스레이크의 그랜트 카운티 공항에서 이륙 시 추락 사고가 발생했지만, 다행히 승객 사상자는 없었다. 특히 하네다 공항과 그랜드 카운티 공항 사고는 모두 이륙 시 한쪽 엔진이 정지된 상황을 가정한 훈련 중에 발생했으며, 급격한 편활주로 활주로를 이탈하는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5. 1. 주요 사고
- 1960년 5월 23일, 델타 항공 1903편(CV-880-22-1, N8804E)이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에서 훈련 비행 중 추락하여 승무원 4명 전원이 사망했다. 기체가 회전할 때 기수가 들리고 좌우로 기울어진 후 지면에 충돌하여 파편화되고 화염에 휩싸였다.[23]
- 1966년 8월 26일, 일본항공 소속 CV-880-22M-3 (JA8030)이 하네다 공항에서 훈련 비행 중 이륙하다 추락하여 승무원 5명 전원이 사망했다. 기수가 들릴 때 알 수 없는 이유로 왼쪽으로 기체가 기울어졌고, 1번 엔진이 활주로에 부딪힌 후 활주로를 벗어나 기수가 내려갔다. 4개의 엔진과 기수, 왼쪽 메인 기어가 분리되고 화재가 발생했다.[24]
- 1967년 11월 5일, 캐세이퍼시픽 항공 033편(CV-880-22M-3, VR-HFX)이 카이탁 공항에서 이륙 중 오른쪽 앞바퀴가 터진 후 통제력을 잃고 활주로를 이탈하여 탑승객 127명 중 1명이 사망했다.[25]
- 1969년 6월 24일, 일본 항공 90편(CV-880-22M-3, JA8028, ''기쿄'')가 워싱턴주 그랜트 카운티 공항에서 훈련 비행 중 추락하여 승무원 5명 중 3명이 사망했다. 이륙 중 4번 엔진의 출력이 감소했지만, 4번 엔진이 활주로에 부딪힐 때까지 오른쪽으로 기체가 기울어졌고, 활주로를 벗어나 미끄러지면서 화재가 발생했다.[27]
- 1972년 6월 15일, 캐세이퍼시픽 700Z편이 남베트남 플레익에서 폭탄 폭발로 탑승객 및 승무원 81명 전원이 사망했다.[28]
- 1977년 8월 20일, 모나크 항공 CV-880-22-2 (N8817E)가 코스타리카 후안 산타마리아 국제공항에서 이륙 직후 과적재로 인해 나무에 부딪혀 추락하여 승무원 3명이 사망했다.[30]
- 1980년 11월 3일, 라틴 카르가 CV-880-22-2 (YV-145C)가 승무원 훈련 비행 중 베네수엘라 카라카스 시몬 볼리바르 국제공항에서 이륙 중 추락하여 승무원 4명이 사망했다.[31]
6. 보존
엘비스 프레슬리의 자가용 비행기였던 "리사 마리"호(N880EP)는 테네시주 멤피스의 그레이스랜드에 전시되어 있다.[42][43] 이 비행기는 원래 델타 항공 소속이었으나 1975년 엘비스 프레슬리가 구매하여 자신의 딸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44][45]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공항에는 CV990 기종이 거의 완전한 형태로 보관되어 있으며, 같은 공항 내에 엔진과 동체 일부가 손상된 CV880 여러 대가 보존 또는 방치되어 있지만 일반에 공개되지는 않고 있다.
그 외 보존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 델타 항공 박물관(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조종석 전시.[34]
- 3: 뉴저지 항공 명예의 전당 및 박물관(뉴저지주 테터보로)에 동체 전방 부분 전시.[35][36] 스크로긴스 항공에서 대여.[37]
- 23: 틸라무크 항공 박물관(오리건주 틸라무크)에 동체 전방 부분 전시. 스크로긴스 항공에서 대여.[38][39][40]
- 35: 캘리포니아주 모하비에 위치한 스크로긴스 항공에 완전한 항공기 보관.[41]
- 58: 남아프리카 공화국 이스트런던에서 로지로 개조.[47] 1970년대에 비즈니스 제트로 개조되었으며(등록 번호 N88CH), 1992년 빌리 넬(현 이스트케이프주 재무 MEC)이 구매하여 개인 거주지로 옮겼다. 1970년대 VIP 인테리어가 그대로 유지되어 개인 행사에 사용되고 있으며, 엔진 중 하나는 스터터하임 엔진 박물관에 기증.[6][48]
7. 제원
- '''(참고)''' 상기 표에서 제시된 수치 외에, 순항 속도는 최대 순항 고도 약 6858.00m (최대 이륙 중량), 경제 순항 M0.82, 고도 약 10668.00m 및 중량 약 63502.88kg 조건에서 534.5kn에 달한다. 착륙 활주 거리는 약 61234.92kg 기준이다.
7. 1. 일반 제원
변형 | 22 | 22M |
---|---|---|
승무원 | 3 | |
탑승 인원 | 110명 | |
길이 | 39.42m | |
높이 | 11m | |
날개 | 36.58m 스팬, 약 185.81m2 면적 | |
익형 | 루트: NACA 0011-64 (수정); 팁: NACA 0008-64 (수정) | |
자중 | 약 39643.94kg | 약 42637.65kg |
연료 용량 | 10584USgal | 12538USgal |
최대 이륙 중량 | 약 83687.72kg | 약 87543.26kg |
엔진 (4 x 터보제트) | 제너럴 일렉트릭 CJ-805-3 | 제너럴 일렉트릭 CJ-805-3B |
단위 추력 | 11650lbf | |
순항 속도 | 470kn | |
천장 | 약 12496.80m | |
항속 거리 | 2472nmi | 2503nmi |
날개 하중 | 92.25lb/sqft | 96.5lb/sqft |
이륙 | 약 2667.00m | 약 2301.24m |
착륙 | 약 1905.00m | 약 1630.68m |
- 항속 거리: 5120km
- 순항 고도: 10700m
7. 2. 성능
변형 | 22 | 22M |
---|---|---|
승무원 | 3 | |
탑승 인원 | 승객 110명 / 약 10886.21kg | |
길이 | 약 39.32m | |
높이 | 약 10.97m | |
날개 | 약 36.58m 스팬, 약 185.81m2 면적 | |
익형 | 루트: NACA 0011-64 (수정); 팁: NACA 0008-64 (수정) | |
자중 | 약 39643.94kg | 약 42637.65kg |
연료 용량 | 10584USgal | 12538USgal |
최대 이륙 중량 | 약 83687.72kg | 약 87543.26kg |
4 × 터보제트 | 제너럴 일렉트릭 CJ-805-3 | 제너럴 일렉트릭 CJ-805-3B |
단위 추력 | 11650lbf | |
순항 속도 | 470kn | |
천장 | 약 12496.80m | |
항속 거리 | 2472nmi | 2503nmi |
날개 하중 | 92.25lb/sqft | 96.5lb/sqft |
이륙 | 약 2667.00m | 약 2301.24m |
착륙 | 약 1905.00m | 약 1630.68m |
참조
[1]
간행물
Here's Convair's 880 – the Fastest Jet Transport in the World?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59-03
[2]
서적
General Dynamics aircraft and their predecessors
https://archive.org/[...]
Naval Institute Press
1990
[3]
웹사이트
MODEL 22 and 22M TYPE CERTIFICATE DATA SHEET NO 4A27
https://rgl.faa.gov/[...]
2012-06
[4]
웹사이트
City of the Dream, 1940–1970
https://sandiegohist[...]
2019-05-09
[5]
서적
Convair 880 & 990
World Transport Press
1996
[6]
웹사이트
Goleta Air & Space Museum : Convair 880
http://www.air-and-s[...]
2019-05-09
[7]
웹사이트
photo of Air Malta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8]
웹사이트
photo of Bahamas World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9]
웹사이트
photo of Flying Fish Company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10]
웹사이트
Holiday Magic Finland
http://www.aerotrans[...]
ATDB-aero
2021-10-10
[11]
웹사이트
photo of Jetaway Travel Club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12]
웹사이트
photo of Jonian Airlines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13]
웹사이트
photo of NASA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14]
웹사이트
photo of Onyx Aviation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15]
웹사이트
photo of Pan West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16]
웹사이트
photo of Profit Express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17]
웹사이트
photo of Pan West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18]
웹사이트
photo of Rowan Drilling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19]
웹사이트
photo of Torco Drilling Co.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20]
웹사이트
photo of Sunfari Travel Club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21]
웹사이트
photo of SunJet International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22]
웹사이트
photo of WINGS Convair 880
https://www.airliner[...]
[23]
사고
N8804E
2010-12-16
[24]
사고
JA8030
2017-06-30
[25]
사고
VR-HFX
2017-06-30
[26]
웹사이트
Aircraft Accident Report Trans World Airlines, Inc., Convair 880, N821TW, Constance, Kentucky, November 20, 1967
http://aviation-safe[...]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Report Number NTSB-AAR-69-05
2010-05-19
[27]
사고
JA8028
2017-06-30
[28]
사고
VR-HFZ
2010-05-19
[29]
서적
Aircraft Accident Report North Central Airlines, Inc., McDonnell Douglas DC-9-31, N954N, and Delta Air Lines, Inc., Convair CV-880, N8807E, O'Hare International Airport, Chicago, Illinois, December 20, 1972 : NTSB-AAR-73-15
http://libraryonline[...]
NTSB
1973-07-05
[30]
사고
N8817E
2017-06-30
[31]
사고
YV-145C
2017-06-30
[32]
사고
N880SR
2017-06-30
[33]
사고
N5863
2017-06-30
[34]
웹사이트
Convair 880 Prototype
http://www.deltamuse[...]
2016-10-18
[35]
웹사이트
Ship 3
http://www.convairje[...]
ConvairJet.com
2007-09-21
[36]
웹사이트
Aircraft N801AJ Data
http://www.airport-d[...]
Airport-Data.com
2016-09-20
[37]
간행물
Saving the Last Convair Jetliners – by Ralph M. Pettersen
Air Classics
2018-05
[38]
웹사이트
Convair 880, serial no. 23, N817TW
http://www.convairje[...]
ConvairJet.com
2016-09-20
[39]
뉴스
Column: Ghost of Convair jet rises from desert graveyard, returns to public view
http://www.sandiegou[...]
Bell, Diane
2019-04-29
[40]
웹사이트
CONVAIR 880 ARRIVES AT THE AIR MUSEUM
https://web.archive.[...]
2018-08-31
[41]
웹사이트
Convair 880, serial no. 35, N815AJ
http://www.convairje[...]
ConvairJet.com
2016-09-20
[42]
웹사이트
Other Graceland Museums & Exhibits
https://web.archive.[...]
Elvis Presley Enterprises, Inc.
2016-09-20
[43]
웹사이트
Airframe Dossier – Convair CV-880-22-2, c/n 22-00-38, c/r N880EP
http://aerialvisuals[...]
AerialVisuals.ca
2016-09-20
[44]
서적
Convair 880 and 990
1996-09
[45]
웹사이트
'The Lisa Marie': Elvis Presley's Convair 880 Jet Airplane
https://www.elvis.co[...]
2019-05-09
[46]
뉴스
BBC News – Elvis Presley's private jets up for sale
https://www.bbc.com/[...]
2015-01-03
[47]
웹사이트
Convair 880 N88CH at Shadow Park Lodge » 2005-11-16
https://web.archive.[...]
Aviation Pics
2016-09-20
[48]
웹사이트
Down by the river with Billy Nel, the collector king of boys’ toys.
http://www.weekendpo[...]
2005-01-29
[49]
서적
Jane's all the World's Aircraft 1965–66
Sampson Low, Marston & Company, Ltd.
[50]
서적
JAL JET STORY
イカロス出版
[51]
서적
Contrail of JAL 50 years
日本航空
[52]
문서
第2章ジャンボ時代に備えて 第3節大量輸送体制の整備
日本航空20年史(日本航空
[5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